할로웬 DAY의 상징:잭-오-랜턴(Jack O""Lantern)은 할로윈데이에 등장하는 호박등이다. 속을 파낸 큰 호박에 도깨비의 얼굴을 새기고, 안에 초를 넣어 도깨비눈처럼 번쩍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 장식품이다.
옛날 술 잘 먹고 교활한 잭이라는 사람이 악마를 골탕먹이고 죽자 앙심을 품은 악마는 그를 천국도 지옥도 가지 못하게 했다. 결국 잭은 천국도, 지옥도 가지 못한채 아일랜드의 추운 날씨 속에서 암흑 속을 방황하게 되었고 너무 추운 나머지 악마에게 사정하여 숯을 얻어 순무 속에 넣고 랜턴 겸 난로를 만들어 온기를 유지했다고 한다.
이것이 할로윈의 상징인 호박등에 얽힌 전설인데 나중사람들이 순무대신 호박으로 바꿨다는게 통설이다.

고대 켈트인(人)의 삼하인(Samhain) 축제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것은 죽음의 신(神) 삼하인을 찬양하고 새해와 겨울을 맞는 축제로, 이 날 밤에는 죽은 사람들의 영혼이 그들의 집으로 돌아온다고 믿어 이 축제는 유령·마녀·도깨비·요정 등과 함께 불길한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또한 이 날은 악마의 도움으로 결혼·행운·죽음에 관계되는 점을 치기에 좋은 때라고 생각하였다.
그리스도교의 전파와 함께 할로윈 축제는 모든 성인(聖人)의 날 대축일(11월 1일) 전날 밤의 행사로 자리잡았다. ‘hallow’란 앵글로색슨어(語)로 ‘성도(聖徒)’를 뜻하며, ‘All Hallows’ Eve(모든 성인의 날 대축일 前夜祭)’가 줄어서 ‘Halloween’이 되었다.
오늘날에는 미국 어린이들의 축제로 유명하다. 할로윈의 상징물이라 할 수 있는 잭오랜턴(Jack O'Lantern)은 속을 도려낸 큰 호박에 악마의 얼굴 모습을 새기고 그 안에 초를 고정시켜 놓은 것이다.
학교에서는 가장(假裝) 파티가 열리고, 밤이 되면 도깨비·마녀·해적 등으로 가장한 어린이들이 집집마다 다니며 ‘과자를 주지 않으면 장난을 치겠다(Trick or Treat)’고 으름장을 놓으면서 초콜릿과 캔디를 얻어 간다.
★ 할로윈분장
외국에 할로윈분장에 비해 우리나라는 귀엽고 예쁜 캐릭터를 많이 선호하는 편이다.할로윈데이 쇼핑몰 파티박스 조사한 결과 2002년 에는 보통 엄마들이 남자아이들은 망토종류와 슈퍼맨, 배트맨, 스파이더맨, 삐에로, 해적등 영화에서 볼 수 있는 귀엽고 예쁜 캐릭터들을 많이 찾고 여자아이들은 천사분장 및 공주의상을 많이 찾는다고 한다. 할로윈 의상은 보통 3만원~6만원 사이가 가장많은데 한번 입고 놔두기에는 정말 아까운 비용이다. 저렴한가격에는 망토에 모자가 가장 좋을 듯 싶다.
★ 쥐덫·슬롯머신…기발한 할로윈 의상들[MD 화제]
[마이데일리 = 이은주 기자] 할로윈이 한달 남짓 남았다. 할로윈을 축제로 즐기는 미국에서는 벌써부터 기발한 할로윈 파티 의상들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특이한 의상이나 재밌는 물건들을 파는 미국 인터넷 사이트 프랭크플레이스닷컴에서는 2005년 할로윈 데이를 겨냥한 다양한 의상들을 내놨다.
이 사이트는 총
30벌의 할로윈 의상들을 선보였다.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졌으며, 성인이라면 누구나 입을 수 있다는 설명이 달려있다.
신상품 중에는 변기나 쥐덫 모양은 물론 볼링 공, 쓰레기통, 아이스 크림, 핫도그, 통조림 등을 본뜬 기발한 의상들이 많다. 가장 비싼 것은 슬롯 머신 의상으로 69달러 89센트다. 또
수갑찬 커플, 전기 플러그와 소켓 등 두명이 함께 입을 수 있는 할로윈 데이 의상도 선보였다.
[미국의 한 인터넷 사이트에서 판매중인 할로윈 데이 의상. 사진 출처 = 프랭크플레이스닷컴]
(이은주 기자 er@mydaily.co.kr)
★ 특별한 변신 모두들 깜짝
1년에 한번뿐인 특별한 파티. 회사갈 때, 학교갈 때 입는 옷을 그대로 입고 간다면 스스로에게 예의가 아니다. 이날만큼은 평범한 나를 거부해보자. 의외로 쉽게 각종 파티복을 빌려입을 수 있다. 해리포터, 귀여운 마녀, 은하철도 999의 메텔이 한자리에 모여 왁자지껄 떠드는 풍경. 생각만해도 가슴 두근거리지 않는가.
할로윈(www.halloween.co.kr)에 가면 어릴적 만화에서나 보던 검은 마녀복장을 1만9천원에 빌릴 수 있다. 마법의 빗자루와 뾰족한 마녀모자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당신의 등장에 깜짝 놀란 친구들, 빗자루를 타고 하늘을 날아보라고 조를지도 모른다.
해리포터를 좋아하는 아이에겐 그린피도르의 교복망토를 입혀보는 건 어떨까. 검은 뿔테안경을 쓰고 하루종일 신이 나서 지팡이를 휘두르는 모습이 눈에 선하다. 대여료는 1만7천원(아동용).
파티에서만큼은 “은하철도 999 태워줘”라고 졸라댔던 어린 시절의 꿈도 이룰 수 있다. 니탄(www.nyttan.co.kr)에서는 메텔의 검은 원피스와 모자를 3만원에 대여해주고 있다. 혹시 아는가. 철이 옷을 입고 나타나는 남자가 있을지. 그밖에 백설공주 원피스, 슈퍼맨 의상도 대여가 가능하다. 산타의상은 기본. 평소에는 꿈도 못꿀 발목까지 치렁치렁 내려오는 화이트 드레스, 야성미 넘치는 해적의상도 있다. 머리를 양갈래로 따고 차이나 옷을 입어보는 것도 훌륭한 선택.
과감한 변신이 부담스럽다면 하다못해 루돌프 머리띠나 슈렉 머리띠라도 두르고 가자. 영화속 장면처럼 파티구슬 가면으로 눈만 가린 채 신비감을 풍기는 것도 좋다. 파티의 즐거움은 직접 찾아 움직이는 만큼 커진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
몇 년 전부터 영국과 미국에서 상륙하기 시작하여,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하게 된 귀신 놀음.호박 속을 파서 만든 호박 등불이나 횃불을 들고 마녀와 귀신 분장을 한 의상 행렬과 가장 무도회가 벌어지는 ‘할로윈’ 축제의 기원과 유래를 알아보자.
지금으로부터 2,500 여 년 전 ‘켈트 족 Celtes’의 한 지파인 ‘골르와 족’의 달력으로는 여름이 끝나는 10월 31일이 한 해의 끝이고 11월 1일부터 새해가 시작되었다는데, 들판에 방목하던 가축들을 외양간으로 불러들이고 목축에 도움을 준 태양에 감사 드리는 제사를 지냈단다.
한 해의 마지막 날에는 죽은 자의 영혼이 가족을 잠시나마 방문할 수 있다고 믿었는데, 바로 이때에 염라대왕이 그 해에 죽은 자들의 영혼을 일깨운다고 믿었다나.
송구영신하는 10월 31일 저녁에 모든 아궁이의 불을 다 꺼버리고, 처음 맞이하는 새해의 첫 시간에 새해에 좋은 일만 일어나도록 엄격하게 ‘사맨 Samain’ 의식을 치루었단다. 모든 사람이 둥그렇게 원을 그리며 앉으면 제사장이 신전의 ‘성스러운 불’을 장엄한 의식과 함께 꺼 버리고, 나쁜 귀신들을 몰아내고 태양신을 찬양하기 위하여 신성한 떡갈나무의 마른 가지를 비벼서 새로이 불을 피우면, 각 가정의 우두머리는 붉은 숯으로 이 성스러운 불에서 불씨를 받아 아궁이에 불을 옮기고, 액운과 위험을 막아준다고 믿었던 이 불씨를 한 해 동안 절대로 꺼트리지 않았다고.
어원
‘사멘 Samain’ 의식은 ‘골르와 족’에게는 가장 중요한 행사로써, 겨울맞이를 하는 의식의 제물로 사용된 흰 소 두 마리가 식탁에 오른다. 먹고 마시는 이 잔치는 보통 15일 정도 지속되는데, 나쁜 귀신들이 겁을 먹도록 으스스한 옷을 입고 분장을 하였단다.몇 세기가 지나면서 카톨릭 달력과 동화되면서도 꾸준히 의식을 치렀고, 840년 교황 ‘그레고리 4세 Grégoire IV’가 ‘모든 성인들의 축일 Toussaint’ (뚜쌩)을 11월 1일로 정하고, 그 전날인 10월 31일부터 지킬 것을 공표하면서 완전히 동화되었다.
영국인들은 11월 1일을 ‘모든 성자들의 날’을 < All Hallows'day >라고 부르고, 그 전날을 < All Hallow E’en >이라고 부르다가 ‘할로윈 Halloween’으로 바뀐 것이다.
풍습
당시 프랑스에서는 점차 ‘켈트 족’의 ‘사멘 Samain’ 의식이 사라져가는 반면에 아일랜드, 에코스를 비롯한 일부 영국에서는 더욱 더 발전한다. 아일랜드에서 ‘할로윈’ 축제날 저녁에는 기름에 볶은 양파와 감자 으깬 것을 섞은 ‘깔까농 Callcannon’ 이라는 것을 먹는데, 이 속에 반지, 주사위, 돈, 도자기로 만든 인형을 집어 넣는다.반지를 찾는 사람은 그 해에 결혼을 하게 되고, 도자기 인형을 찾는 사람은 아이를 낳을 것이며, 돈을 찾으면 부자가 된다는데, 주사위가 걸리면 결코 결혼을 못한다나.
'잭-오-랜턴 Jack-o’Lantern'의 유래와 변화
'할로윈’ 축제에 가장 대중적인 인물 '잭-오-랜턴 Jack-o'-Lantern’은 본래 아일랜드에서 시작된 전통으로, 거대한 감자나 뿌리가 노란 무우의 속을 파내고 무서운 형상의 머리로 만들어 속에 촛불을 넣어 ‘할로윈’ 축제에 등불처럼 사용하였다.
당시 아일랜드에는 호박이 없었으니까. 옛날에 인색하기로 유명하고 술 주정꾼으로 낙인 찍힌 ‘잭 Jack’이라고 불리는 아일랜드 사람에게 어느 날 술집에서 자신의 영혼을 요구하는 저승 사자가 나타난다. 교묘하게 저승 사자에게 술 한잔을 하도록 꾀었고, 이에 넘어간 저승 사자가 술을 마시고 자신의 술값을 지불하기 위하여 동전 6펜스로 변장하자마자 재빨리 십자가 자물쇠가 달린 자신의 백 속에 집어 넣어버렸다.한 해 동안 쫓아다니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내고 저승 사자를 풀어주고, 덤으로 일년을 더 살았고 그 다음해 찾아 온 저승 사자를 다른 속임수로 또 골탕을 먹이고.
후에 죽어서 저승을 갔을 때에는, 저승 사자를 놀린 것 때문에 천국도 지옥도 가지 못하고, 추운 아일랜드의 날씨 속에 암흑 속을 떠도는 유령 신세가 되는데, 저승 사자에게 옛 정( ?)을 호소하여 불씨 하나를 얻어가지고, 암흑의 길을 걸을 때 불을 밝힐 수 있도록 자기가 씹던 무우 속에 집어 넣고는, 자신의 등불(?)을 밝히며 ‘심판의 날 Jour du Jugement’이 올 때까지 걷는 형벌을 받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것이 ‘할로윈’을 상징하는 '잭-오-랜턴'이 되었다는 것이다.대 흉년이던 1846-1848년 사이에 아일랜드 사람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가면서 ‘할로윈’ 축제의 상징인 ‘잭 오 랑텐 Jack-o'-lantern’을 전파하는데, 무우에서 큰 호박으로 바뀌었을뿐 .
현대의 할로윈 데이
옛날 북부 아메리카에서는 ‘할로윈’이 즐거운 축제만은 아니었는가 보다. 세기 초에는 어린아이들이 무시무시한 형상으로 분장을 하고 떼지어 몰려다니면서 선물을 요구하면서 사람들을 곯려주는 기회이었단다. 시간이 흐르면서 그 관습이 바뀌어 집집마다 문을 두드리며 과자를 요구하는 것은 1930년대에 들어서 생긴 것이다.오늘날에는, 다양하게 분장한 꼬마 귀신이 문을 열고 들어와서 '트릭 오어 트릿 Trick or Treat : 과자를 주지 않으면 장난을 칠 테야!'하고 외치면서 자루를 내밀면, 그 자루에다 한줌의 과자, 사과, 오렌지 혹은 사탕 등을 넣어준다. 집집마다 돌아다니는 개구쟁이들
|
북미에서 큰 축제중에 하나이면서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할로윈 데이(10월31일)가 가까워 오네요.^^
이날은 학교에서 선생님이나 학생들이 할로윈 복장으로 파티도 하지요
주택가에서는 호박을 이용해서 정원이나 집앞을 꾸미기도 하는데
집주인에 따라 익살 맞은 모양에서 너무나 예쁜 장식까지 아주 다양하답니다.
저녁에는 아이들이 무리를 지어 이웃을 방문해 "Trick or Treat"을 외치면서
사탕이나 초콜릿, 선물 등을 받아오는 행사가 있습니다.
그러나, 간혹 예상치 않은 불상사가 생길 수 있어서
전문가들은 자녀들의 안전한 "Trick or Treat" 나들이를 위해
부모 및 인솔자들에게 아래와 같이 당부합니다.
1) 13세 이하 어린이는 반드시 어른이 동행한다.
2) 기온을 감안해 의상 밑에 내의를 충분히 입힌다.
3) 복장은 시야를 가리거나 걷기에 불편을 주지 않아야 합니다.
4) 도로 한 방향으로 움직여 길을 건너는 횟수를 줄인다.
5) 보호자는 손전등을 들고 따라 다니는 것이 좋다.
6) 반드시 불이 켜진 집만 방문하도록 한다.
7) 아이들이 사탕이나 과자, 초콜릿 등을 받은 즉시 먹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8) 저녁을 충분히 먹여 아이들이 배가 고픈 상태로 돌아다니지 않도록 한다.
9) 아이팟이나 MP3 등을 귀에 꽂고 다니지 않도록 한다.
10) 아이들이 가져온 것들 중에서 작은 장난감이나 껌 등 질식 위험이 있거나 알러지를
일으키는 것, 알코올 성분이 포함 된 것, 포장상태가 훼손된 제품 들을 골라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