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 미인도 2008]

 

 

 

미인도 美人圖 (2008)

감독 : 전윤수

드라마 | 한국 | 108 분 | 2008-11-13

 

250년을 뛰어넘은 센세이션!
천재화가의 매혹적 비밀!
4대째 이어온 화원 가문의 막내딸이자 신묘한 그림솜씨로 오빠 신윤복에게
남몰래 대신 그림을 그려주던 7살 천재 윤정. 평범하던 그녀의 삶은
어느날 오빠의 자살로 인해 송두리째 뒤바뀐다.
그림을 위해 여자를 버리고 오빠 신윤복의 삶을 살게 된 것.

욕망과 아름다움의 아슬아슬한 경계
조선 최초의 에로티시즘!
조선 최고의 화가 김홍도의 마음을 설레이게 할 만큼 빼어난 그림 실력을
가졌던 윤복은 자유롭고 과감한 사랑을 그려 조선 최초의 에로티시즘을
선보인다. 하지만 그의 '속화'는 음란하고 저급하다는 질타와 시기를 받는다.

<미인도>를 둘러싼 네 남녀의
은밀하고 치명적인 사랑!
그림을 위해 남자로 살았던 윤복 앞에 어느날 강무가 나타나고
생애 처음 사랑의 감정에 빠진다. 사랑 앞에 여자이고 싶었던 윤복,
윤복을 위해 목숨도 바칠 수 있는 그녀의 첫사랑 강무,
제자의 재능을 사랑하고 그의 전부를 사랑하게 된 김홍도,
홍도를 향한 사랑으로 질투에 사로잡힌 기녀 설화.
250년간 숨겨진 비밀을 간직한 <미인도>를 둘러싼 그들의 엇갈린 사랑과
치명적 질투는 예기치 못한 불행을 불러온다.

 

 

알고 보면 더 유익한 영화정보!
미리 감상하는 영화 속 걸작!

 

미인도 (美人圖) : 비단에 채색 114.2*45.7cm 간송미술관
혜원 신윤복의 대표작. 사실주의적 미의식을 잘 드러낸 18세기 말기~19세기 중기의 걸작.
쪽물을 들인 회청색 치마에 받쳐 입은 남자주색의 삼회장저고리, 옆구리의 자주빛 고름등 옷맵시가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고 말려 올라간 치마 끝으로 한쪽만 살짝 드러나는 외씨 버선과 고개 숙여 응시 하는 여인의 표정은 보는 이의 마음을 설레게 한다.

 

영화 <미인도>속 ‘미인도’는?
미인도의 찬문 "얇은 저고리 밑, 가슴 속 가득한 정을 붓끝으로 전하노라"라는 한 줄에서 시작된 상상력. 미인도는 신윤복의 자화상은 아니었을까? 영화 속에서 그림 ‘미인도’는 신윤복이 사랑하는 연인 강무 앞에서 처음으로 여성성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장면에서 나온다. 그림 때문에 남자로 살다가 사랑 앞에서 여자이고 싶었던 그녀의 설레임은 거울 앞에서 자신을 비춰 보는 모습에서 묘사된다. 그녀는 스스로 자신의 아름다운 모습을 자화상으로 남긴다.


단오풍정 (端午風情) : 종이에 채색 28*35cm 간송미술관
그림의 중심 상단에는 강렬한 색채로 그네 뛰는 여인을 묘사하여 화면의 초점을 이루었고, 왼쪽 위에서 사각(斜角)으로 흘러내리는 개울과 둔덕 등 거의 빈틈없는 구도는 신윤복의 그림 중에서도 백미이다. 큰 타래머리의 여인들과 개울가에서 목욕하는 반라(半裸)의 여인들, 그리고 바위 틈으로 숨어서 넘겨다보는 승려의 모습 등을 대담하게 그렸다.

영화 <미인도>속 ‘단오풍정’은?
강무가 자신을 위기에서 구해준 윤복에게 빚을 갚는다는 명분으로 소개한 개울가. 평소 풍속화를 그리고 싶어하던 윤복에게 최적의 장소로 추천한 곳은 다름 아닌 평소 기녀들이 목욕을 하는 개울가이다. 강무가 건낸 청동거울 속으로 비치는 개울가 풍경, 목욕하는 기생들의 농염한 자태가 아찔하다. 그림 ‘단오풍정’이 그려진 비하인드 스토리와 그림을 생생하게 재현한 영화 속 장면이 압권이다.


월야밀회 (月夜密會) : 종이에 채색 28.2*35.2cm 간송미술관
대담한 묘사와 색감이 탁월한 관능미를 보여주는 신윤복의 또 다른 대표작품.
인적이 끊어진 골목길 보름달이 비치는 담 그늘 아래서 한 남자가 여인을 감싸고 있다. 담 모퉁이에 비켜서서 조마조마하게 이들을 지켜보는 여인은 그림 속의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영화 <미인도>속 ‘월야밀회’는?
영화 속에서 그림 "월야밀회"는 스승 김홍도가 자신도 모를 감정을 느끼게 된 제자 윤복의 화첩 속 그림 중 하나이다. 우연히 몰래 보게 된 화첩속의 ‘월야밀회’를 본 김홍도는 마치 윤복과 강무의 사랑을 훔쳐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느끼고 묘한 질투심에 사로잡힌다.


월하정인 (月下情人) : 종이에 채색 35.6*28.2cm 간송미술관
“밤 깊은 삼경 두 사람 마음은 두 사람만 알지.”
신윤복의 섬세한 감성을 보여주는 작품. 달빛아래 두 남녀의 은밀한 밀애를 담은 작품.

영화 <미인도>속 ‘월하정인’은?
‘월하정인’은 처음 여자의 모습을 들켜버린 윤복이 강무에게 설레임을 느끼면서 그리게 된 작품. 깊은 밤에 윤복과 강무가 몰래 사랑을 나누는 떨리는 감성을 담았다.


이부탐춘(二婦探春) : 종이에 채색 28.2*35.2cm 간송미술관
봄날 한 쌍의 개가 교접하는 것을 보고 웃음을 참지 못한 청상과부와 이를 말리는 몸종의 노골적인 표현이 웃음을 자아내는 작품.

영화 <미인도>속 ‘이부탐춘’은?
영화 속에서 ‘이부탐춘’은 김홍도가 그의 스승 표암 강세황의 집을 찾아가 담소를 나누는 동안 윤복이 마당을 둘러보다가 담장 너머에 소복 입은 과부와 몸종이 웃고 있는 것을 보고 호기심으로 그린 작품이다.

씨름도 : 종이에 채색 27×22.7cm, 국립중앙박물관
김홍도의 대표적 풍속화중 하나이다. 맞붙어 힘을 겨루는 씨름꾼의 마지막 안간힘과 구경꾼들의 엇갈린 표정 및 탄성의 몸짓이 열띤 분위기와 함께 손에 잡힐 듯 생생하게 전달되고 있다.

영화 <미인도>속 ‘씨름도’는?
김홍도와 신윤복은 정조에게 바칠 속화를 그리기 위해 저잣거리 구경을 나간다. ‘씨름도’는 저잣거리 한복판에서 강무의 씨름시합이 한창인 것을 보고 김홍도가 그린 것이다. 강무는 이날 시합에서 우승을 해 상품인 송아지를 윤복에게 선물한다.


습득도(拾得圖) : 비단에 채색21.5*15.2cm, 간송미술관
단순한 구도이면서 먹의 농담으로 세상을 떠돌며 백성들의 배고픔을 채워주었다는 고승 습득의 삶을 표현한 그림이다. 단원의 생활철학을 엿볼 수 있는 그림이기도 하다.

영화 <미인도> 속 ‘습득도’는?
값비싼 거울을 깨뜨려 꼼짝없이 붙잡힌 강무를 위해 윤복은 스승 김홍도의 그림 ‘습득도’를 모사한다. 거지로 살면서 가난한 이를 돌보았던 당나라 거지 중 습득의 그림을 귀신같이 모사해낸 윤복의 지혜와 필법에 거드름을 피우던 관료들도 강무를 순순히 놓아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