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ly Ameling soprano
Born: February 8, 1933 - Rotterdam, Holland
볼프 괴테 빌헬름 마이스터 시대로 부터의
네 개의 미뇽의 노래 중 제2곡 "그리움을 아는 사람만이"
Lieder from Goethe’s “Wilhelm Meister”
4 Mignon-Lieder, no. 2 "Nur wer die Sehnsucht kennt"
Composed by Hugo Wolf
Composed by Hugo Wolf
Performed by Elly Ameling, soprano
with Rudolf Jansen, piano
1981 recorded
Label: Globe
Hugo Wolf:
Lieder from Goethe’s “Wilhelm Meister”
4 Mignon-Lieder, no. II"
"Nur wer die Sehnsucht kennt" 2'23"
Language: GERMAN
Nur wer die Sehnsucht kennt
Weiß, was ich leide!
Allein und abgetrennt
Von aller Freude,
Seh ich [ans]1 Firmament
Nach [jener]2 Seite.
Ach! der mich liebt und kennt,
Ist in der Weite.
Es schwindelt mir, es brennt
Mein Eingeweide.
Nur wer die Sehnsucht kennt
Weiß, was ich leide!
1 Schubert: "am"
2 Lang: "jeder"
Authorship
by 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
by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 "Sehnsucht", WoO. 134 (1808).
by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 "Sehnsucht", D. 310 (1815),
published 1895, note: there are two versions of this setting
by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 "Lied der Mignon", D. 359 (1816),
published 1872.
by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 "Lied der Mignon", D. 481 (1816),
published 1895.
by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
"Nur wer die Sehnsucht kennt", op. 98a no. 3 (1849).
by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 "Nur wer die Sehnsucht kennt", op. 6
(Shest' romansov) no. 6 (1869), note: also set in Russian
by Hugo Wolf (1860-1903) , "Mignon II", from Goethe-Lieder, no. 6.
"그리움을 아는 사람만이"
그리움을 아는 사람만이
이해할 수 있다 내가 괴로와하는 것을!
홀로 그리고 격리되어
모든 즐거움으로부터
본다 나는 창공을
저쪽편으로.
아! 나를 사랑하고 아는 사람이,
멀리 떨어져 있다.
머리가 어지럽다 나는, 불길이 타오른다
나의 내부.
그리움을 아는 사람만이,
이해할 수 있다 내가 괴로와하는 것을!
"Only one who knows longing"
Language: ENGLISH
Only one who knows longing
Knows what I suffer!
Alone and cut off
From all joy,
I look into the firmament
In that direction.
Ach! he who loves and knows me
Is far away.
I am reeling,
My entrails are burning.
Only one who knows longing
Knows what I suffer!
Authorship
Translation from German to English copyright © by Lawrence Snyder
Based on
a text in German by 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
1938년 2월 8일 네델란드의 로텔담에서 출생. 하조의 성악학교에서 수업받은 후 파리
로 가서 피에르 베르나크(당시의 名 바리톤)에게 사사, 이 무렵 아멜링은 자기가 과연
성악가로서 성공할 수 있는 것인지를 고민했을뿐 아니라 베르나크의 교수법에 대해서
도 회의를 가진 것으로 전해진다.그러나 꾸준히 정진한 결과 1956년과 1958년의 국제
콩쿠르에 응모해서 1위를 차지함으로써 주목받기 시작했다.
1961년, 암스테르담에서 최초의 리사이틀을 연 이래 적극적인 연주 활동을 시작했고
1965년엔 바하의 '결혼 칸타타'를 최초로 녹음했다. 독일의 HARMONIA MUNDI社에
서 제작된 이 레코드가 에디슨 상을 받게되자, 그녀의 이름은 더욱 유명해지기 시작
했고 그 여세를 몰아 1966년엔 런던 데뷔 연주회를 열었다. 이어서 1968년에 뉴욕에
데뷔했고 이때부터 해마다 미국과 영국에서 연주하게 됐다.
아멜링은 데뷔이래 콘서트에서나 레코딩에서 오라토리오, 칸타타, 연주회용 아리아
등 주로 종교음악의 독창자로 활약했고 이러한 그녀의 연주 경향은 화려한 오페라무
대와는 좋은 대조를 보이는 것이다. 실제로 아멜링은 오페라에 관해서는 무관심으로
일관했으나 주변의 적극적인 권고 때문에 1973년과 1974年년 네델란드와 워싱턴에서
가진 리사이틀에서 모차르트의 이도메네오의 아리아를 노래한 일은 있었고 그 반응
도 열광적인 것이었으나 여전히 오페라 무대만은 멀리
했다.
그녀의 소리는 비할 데 없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짙은 서정성까지 갖추고 있어 듣는
이를 크게 감동시킨다. 아멜링의 레코드는 1960연대의 것이 훌륭하다는 評이 있다. | | |